본문 바로가기

베이지안 확률이론2

Conjugate Prior의 정의와 예제 1. Conjugate Prior의 정의 베이지안 머신러닝 (Bayesian machine learning)에서는 주어진 데이터셋 $\mathcal{D}$에 대해 모델 매개변수 $\theta$의 사후 확률 (posterior probability) $p(\theta|\mathcal{D})$를 최대화하도록 모델 학습이 진행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begin{align*} \theta^* &= \underset{\theta}{\text{argmax}} \; p(\theta|\mathcal{D})\\ &= \underset{\theta}{\text{argmax}} \; p(\mathcal{D}|\theta) p(\theta) \tag{1} \end{align*}$$ Conjugate p.. 2023. 12. 18.
확률에 대한 Frequentist와 Bayesian 접근, 그리고 MLE와 MAP 1. 확률 (Probability)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확률적으로", "확률이 높다" 등과 같이 확률에 기반한 서술을 많이 듣는다. 그러나 "주사위를 던졌을 때 1이 나올 확률은 1/6이다"라는 하나의 명제는 빈도주의 (frequentist)와 베이지안 (Bayesian)이라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아래와 같은 빈도주의 해석이다. 주사위를 60,000번 던지면 1이 10,000번 나온다 그러나 두 번째의 베이지안 해석은 같은 확률에 대해 빈도주의 해석과는 조금 다른 관점을 갖는다. 베이지안 해석에서 확률은 아래와 같이 어떠한 사건의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한다. 주사위를 던질 때 1이 나오는 사건은 1/6의 확률로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빈도주의와 베이지안 접근에 대한 개념, 그리고 ..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