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신러닝/확률모델

[머신러닝] 가우시안 혼합 모델 (Gaussian Mixture Model, GMM)과 EM 알고리즘

by CHML 2023. 12. 29.
1. 가우시안 혼합 모델의 개념

Gaussian Mixture Model (GMM)은 그림 1과 같이 가우시안 분포 (정규분포)를 여러 개 혼합하여 데이터의 복잡한 분포를 근사하기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이다. 혼합되는 가우시안 분포의 수 $K$는 GMM의 hyperparameter이며, 그림 1은 $K=3$으로 설정된 GMM을 묘사한다.

그림 1. 다수의 가우시안 분포를 혼합하여 복잡한 확률분포를 근사하는 방법

GMM에서 주어진 데이터 $\textbf{x}$가 발생할 확률은 아래의 식 $\eqref{eq:gmm}$과 같이 $K$개의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의 혼합으로 정의된다.

$$\begin{equation} p(\textbf{x}) = \sum_{k=1}^K \pi_k \mathcal{N}(\textbf{x} ; \boldsymbol{\mu}_k, \Sigma_k) \label{eq:gmm}\end{equation}$$

식 $\eqref{eq:gmm}$에서 $\pi_k \in [0, 1]$는 mixing coefficient라고 하며, 혼합 분포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에서 $k$번째 가우시안 분포가 선택될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pi_k$는 아래의 반드시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begin{equation} 0 \leq \pi_k \leq 1 \; \text{and} \; \sum_{k=1}^K \pi_k = 1 \label{eq:const_pi} \end{equation}$$

GMM을 학습시킨다는 것은 주어진 데이터셋 $\mathcal{X} = \{\textbf{x}_1, \textbf{x}_2, ..., \textbf{x}_N\}$에 대하여 데이터의 확률 $p(\textbf{x})$를 최대화하는 매개변수 $\theta = \{\pi_1, ..., \pi_K, \boldsymbol{\mu}_1, ..., \boldsymbol{\mu}_K, \Sigma_1, ..., \Sigma_K \}$를 추정하는 것과 같다.

 

2. 최대 우도 추정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기반의 GMM 학습

최대 우도 추정 (MLE)은 확률모델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머신러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각 데이터가 동일한 확률 분포에서 다른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생성되었다고 가정하면 (i.i.d. 가정 참고), 주어진 데이터 $\mathcal{X} = \{\textbf{x}_1, \textbf{x}_2, ..., \textbf{x}_N\}$에 대한 로그-가능도 (log-likelihood)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begin{equation} L(\mathcal{X}; \theta) = \log p(\mathcal{X};\theta) = \log \prod_{n=1}^N p(\textbf{x}_n;\theta) \label{eq:log_likelihood} \end{equation}$$

MLE는 식 $\eqref{eq:log_likelihood}$을 최대화하도록 $\theta$에 의해 정의된 모델을 학습시킨다. GMM에서는 식 $\eqref{eq:gmm}$과 같이 데이터의 분포 $p(\textbf{x})$를 $K$개 가우시안 분포의 혼합으로 가정하였으므로, GMM의 학습을 위해 최대화해야하는 로그-가능도는 최종적으로 아래의 식 $\eqref{eq:log_likelihood_gmm}$와 같다.

$$\begin{equation} L(\mathcal{X};\theta) = \sum_{n=1}^N \log \left( \sum_{k=1}^K \pi_k \mathcal{N}(\textbf{x}_n; \boldsymbol{\mu}_k, \Sigma_k) \right) \label{eq:log_likelihood_gmm} \end{equation}$$

우리의 목적은 $L(\mathcal{X};\theta)$를 최대화하는 $\pi_k, \boldsymbol{\mu}_k, \Sigma_k$를 찾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pi_k, \boldsymbol{\mu}_k, \Sigma_k$가 GMM에 하나씩 있는 것이 아니라, $K$개의 가우시안 분포마다 있는 것이기 때문에 GMM의 전체 매개변수는 총 $3K$개이다. 직관적으로 가능도 $L(\mathcal{X};\theta)$는 데이터의 분포를 정의하는 어떠한 매개변수 $\theta$가 주어졌을 때 우리가 관측한 데이터의 집합 $\mathcal{X}$가 나타날 확률이며, $L(\mathcal{X};\theta)$를 최대화하는 매개변수를 찾는다는 것은 주어진 데이터가 나타내는 분포를 가장 잘 근사하는 모델 매개변수를 찾는 것이다.

MLE를 기반으로 GMM의 매개변수를 직접 최적화하기 위해 아래의 식 $\eqref{eq:mle_mu}$와 같이 $L(\mathcal{X};\theta)$를 $\boldsymbol{\mu}_k$에 대해 미분한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frac{\partial L(\mathcal{X};\theta)}{\partial \boldsymbol{\mu}_k} &= \sum_{n=1}^N \frac{\partial}{\partial \boldsymbol{\mu}_k} \left\{\log \left( \sum_{j=1}^K \pi_j \mathcal{N}(\textbf{x}_n; \boldsymbol{\mu}_j, \Sigma_j) \right) \right\} = 0\\\notag &\Leftrightarrow \sum_{n=1}^N \frac{\pi_k \mathcal{N}(\textbf{x}_n; \boldsymbol{\mu}_k, \Sigma_k)}{\sum_{j=1}^K \pi_j \mathcal{N}(\textbf{x}_n; \boldsymbol{\mu}_j, \Sigma_j)} \Sigma_k^{-1} (\textbf{x}_n - \boldsymbol{\mu}_k) = 0 \end{aligned} \label{eq:mle_mu} \end{equation}$$

그러나 $p(\textbf{x})$가 하나의 가우시안 분포로 정의된 경우와는 다르게 식 $\eqref{eq:mle_mu}$에는 로그함수 내부에 가우시안 분포의 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boldsymbol{\mu}_k$에 대한 closed-form solution으로 정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MLE 대신 다른 방식으로 GMM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3.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기반의 GMM 정의

수리적 최적화에서는 어떠한 목적함수를 직접 최대화하는 것이 어려울 때 간접적으로 목적함수의 하한 (lower bound)을 최대화함으로써 최대화 문제를 해결한다. 잠재변수 (Latent variable) $\textbf{z}$를 도입하면 식 $\eqref{eq:lb_log_likelihood}$과 같이 우리가 최대화하고자 하는 GMM의 로그-가능도에 대한 하한을 찾을 수 있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L(\mathcal{X};\theta) &= \sum_{n=1}^N \log p(\textbf{x}_n;\theta)\\ &= \sum_{n=1}^N \log \left( \sum_{k=1}^K p(\textbf{x}_n, z_n=k;\theta) \right)\\ &= \sum_{n=1}^N \log \left(\sum_{k=1}^K q(z_n=k| \textbf{x}_n) \frac{p(\textbf{x}_n, z_n=k;\theta)}{q(z_n=k|\textbf{x}_n)}\right)\\ &= \sum_{n=1}^N \log \left( E_{z_n| \textbf{x}_n \sim q} \left[\frac{p(\textbf{x}_n, z_n;\theta)}{q(z_n| \textbf{x}_n)} \right] \right)\\ &\geq \sum_{n=1}^N E_{z_n| \textbf{x}_n \sim q} \left[\log\left(\frac{p(\textbf{x}_n, z_n;\theta)}{q(z_n| \textbf{x}_n)} \right)\right] \end{aligned} \label{eq:lb_log_likelihood} \end{equation}$$

식 $\eqref{eq:lb_log_likelihood}$에서 마지막 줄의 부등식은 Jensen's Inequality에 의해 유도되었다. 로그함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L(\mathcal{X};\theta)$의 하한을 최대화하는 매개변수 $\theta^*$는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theta^* &= \underset{\theta}{\text{argmax}} \sum_{n=1}^N E_{z_n| \textbf{x}_n \sim q}\left[ \log p(\textbf{x}_n, z_n;\theta) \right]\\ &= \underset{\theta}{\text{argmax}} \sum_{n=1}^N E_{z_n| \textbf{x}_n \sim q}\left[ \log p(z_n;\theta) + \log p(\textbf{x}_n|z_n;\theta)\right] \end{aligned} \label{eq:argmax_theta} \end{equation}$$

식 $\eqref{eq:argmax_theta}$에서 $q(z_n| \textbf{x}_n)$은 매개변수 $\theta$에 대해 독립이기 때문에 최적화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반면에 우리가 새로 도입한 잠재변수 $z_n$의 관점에서 보면 $L(\mathcal{X};\theta)$의 하한을 최대화하는 잠재변수의 확률분포 $q(z_n| \textbf{x}_n)$은 아래의 식 $\eqref{eq:argmax_z}$과 같이 유도된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q^* &= \underset{q}{\text{argmax}} \sum_{n=1}^N E_{z_n| \textbf{x}_n \sim q} \left[ \log p(\textbf{x}_n;\theta) + \log p(z_n|\textbf{x}_n;\theta) - \log q(z_n|\textbf{x}_n) \right]\\ &= \underset{q}{\text{argmax}} \; \sum_{n=1}^N \log p(\textbf{x}_n;\theta) - E_{z_n|\textbf{x}_n \sim q} \left[ \log \left(\frac{q(z_n|\textbf{x}_n)}{p(z_n|\textbf{x}_n;\theta)} \right) \right]\\ &= \underset{q}{\text{argmin}} \; \sum_{n=1}^N D_{KL}(q(z_n|\textbf{x}_n)||p(z_n|\textbf{x}_n;\theta)) \end{aligned} \label{eq:argmax_z} \end{equation}$$

데이터의 분포 $p(\textbf{x}_n;\theta)$는 $z_n$에 대해 독립이므로 잠재변수에 대한 최적화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식 $\eqref{eq:argmax_z}$에서 $D_{KL}$은 두 확률분포의 차이를 의미하는 Kullback–Leibler divergence이다.

일반적으로 GMM을 비롯한 혼합모델 (mixture model)에서는 잠재변수 $z_n$을 $n$번째 데이터 $\textbf{x}_n$이 몇 번째 mixture component (GMM에서는 가우시안 분포)에서 생성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확률변수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z_n$은 이산확률변수가 되며, $\{1, 2, ..., K\}$ 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잠재변수 $z_n$을 도입하면 $L(\mathcal{X};\theta)$의 하한을 최대화하는 매개변수 $\theta^*$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theta^* &= \underset{\theta}{\text{argmax}} \sum_{n=1}^N E_{z_n|\textbf{x}_n \sim q} \left[\log p(z_n;\theta) + \log p(\textbf{x}_n|z_n;\theta) \right]\\ &= \underset{\theta}{\text{argmax}} \sum_{n=1}^N \sum_{k=1}^K q(z_n=k|\textbf{x}_n) (\log \pi_k + \log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k, \Sigma_k)) \end{aligned} \label{eq:argmax_theta_latent} \end{equation}$$

식 $\eqref{eq:log_likelihood_gmm}$의 목적함수 $L(\mathcal{X};\theta)$와 식 $\eqref{eq:argmax_theta_latent}$의 목적함수를 비교하면 잠재변수를 도입한 모델의 이점이 명확해진다. 식 $\eqref{eq:log_likelihood_gmm}$에서는 로그함수 내부에 $K$개의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합성연산이 있어서 미분이 어려웠다면, 식 $\eqref{eq:argmax_theta_latent}$에서는 로그함수 내부에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합성연산이 없어졌다. 다음 항목에서는 식 (6-9)의 과정을 통해 유도한 내용을 바탕으로 GMM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한 학습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한다.

 

4.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을 이용한 GMM 학습

일반적으로 GMM의 모델 매개변수는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E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화한다. EM 알고리즘은 가능도 대신 가능도의 기댓값을 최대화하여 모델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며, 이러한 접근법이 수학적으로 유효한 이유는 식 $\eqref{eq:lb_log_likelihood}$에서 설명했다.

그림 2. EM 알고리즘의 동작

EM 알고리즘은 그림 2와 같이 expectation step (E-step)과 maximization step (M-step)이라는 두 단계를 반복하여 가능도의 기댓값을 최대화하는 매개변수를 찾는다. EM 알고리즘의 각 단계는 아래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 Expectation step (E-step): 가능도의 기댓값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인자들을 추정한다. 식 $\eqref{eq:argmax_theta_latent}$를 예로 들면 모델 매개변수는 아니지만 가능도 계산에 필요한 $\gamma_k(\textbf{x}_n) = q(z_n=k|\textbf{x}_n)$을 추정한다.
  • Maximization step (M-step): 추정된 가능도의 기댓값에 대해 이를 최대화하는 매개변수를 찾는다. GMM에서는 M-step에서 모델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pi_k, \boldsymbol{\mu}_k, \Sigma_k$를 최적화한다.

요약하자면 GMM의 학습은 식 $\eqref{eq:argmax_theta_latent}$에서 정의한 식 $\eqref{eq:obj_func_gmm}$의 목적함수 $J(\mathcal{X};\theta)$를 최대화하는 매개변수를 E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다.

$$\begin{equation} J(\mathcal{X};\theta) = \sum_{n=1}^N \sum_{k=1}^K \gamma_k(\textbf{x}_n) (\log \pi_k + \log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k, \Sigma_k)) \label{eq:obj_func_gmm} \end{equation}$$

아래에서는 GMM의 모델 매개변수 학습을 위한 EM 알고리즘의 E-step과 M-step을 수학적으로 유도한다.

 

4.1. Expectation Step (E-Step)

먼저 E-step에 해당하는 $\gamma_k(\textbf{x}_n) = q(z_n=k|\textbf{x}_n)$의 추정은 아래의 식 $\eqref{eq:e_step}$과 같이 수행된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q(z_n=k|\textbf{x}_n) &= \frac{p(z_n=k)p(\textbf{x}_n|z_n=k)}{p(\textbf{x}_n)}\\ &= \frac{\pi_k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k, \Sigma_k)}{\sum_{j=1}^K \pi_j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j, \Sigma_j)} \end{aligned} \label{eq:e_step} \end{equation}$$

식 $\eqref{eq:e_step}$은 현재의 모델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J(\mathcal{X};\theta)$의 계산에 필요한 $\gamma_k(\textbf{x}_n)$을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2. Maximization Step (M-Step)

M-step에서는 추정된 $\gamma_k(\textbf{x}_n)$을 기반으로 GMM의 모델 매개변수 $\pi_k, \boldsymbol{\mu}_k, \Sigma_k$를 최적화한다. 먼저 $\boldsymbol{\mu}_k$를 최적화하기 위해 $J(\mathcal{X};\theta)$를 $\boldsymbol{\mu}_k$에 대해 미분하면 아래와 같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frac{\partial J(\mathcal{X};\theta)}{\partial \boldsymbol{\mu}_k} &= \sum_{n=1}^N \gamma_k(\textbf{x}_n) (\textbf{x}_n - \boldsymbol{\mu}_k) = 0\\ &\Leftrightarrow \boldsymbol{\mu}_k = \frac{\sum_{n=1}^N \gamma_k(\textbf{x}_n) \textbf{x}_n}{\sum_{n=1}^N \gamma_k(\textbf{x}_n)} \end{aligned} \label{eq:m_step_mu} \end{equation}$$

그 다음, $J(\mathcal{X};\theta)$를 $\Sigma_k$에 대해 미분하면 아래와 같다.

$$\begin{equation} \begin{aligned}[b] \frac{\partial J(\mathcal{X};\theta)}{\partial \Sigma_k} &= \sum_{n=1}^N \gamma_k(\textbf{x}_n) \left[-\frac{1}{2}\frac{\partial}{\partial \Sigma_k}\left\{\log |\text{det}(\Sigma_k)| + (\textbf{x}_n - \boldsymbol{\mu}_k)^T \Sigma_k^{-1} (\textbf{x}_n - \boldsymbol{\mu}_k) \right\} \right] = 0\\ &\Leftrightarrow \sum_{n=1}^N \gamma_k(\textbf{x}_n) \left\{\Sigma_k^{-1} - \Sigma_k^{-1} (\textbf{x}_n - \boldsymbol{\mu}_k)(\textbf{x}_n - \boldsymbol{\mu}_k)^T \Sigma_k^{-1} \right\} = 0\\ &\Leftrightarrow \sum_{n=1}^N \gamma_k(\textbf{x}_n) \Sigma_k = \sum_{n=1}^N \gamma_k(\textbf{x}_n) (\textbf{x}_n - \boldsymbol{\mu}_k)(\textbf{x}_n - \boldsymbol{\mu}_k)^T\\ &\Leftrightarrow \Sigma_k = \frac{\sum_{n=1}^N \gamma_k(\textbf{x}_n) (\textbf{x}_n - \boldsymbol{\mu}_k)(\textbf{x}_n - \boldsymbol{\mu}_k)^T}{\sum_{n=1}^N \gamma_k(\textbf{x}_n)} \end{aligned} \label{eq:m_step_sigma} \end{equation}$$

식 $\eqref{eq:m_step_sigma}$의 유도 과정에서는 공분산 행렬 $\Sigma_k$가 갖는 positive semidefinitesymmetric 성질이 활용되었다. 공분산 행렬은 positive semidefinite 행렬이기 때문에 음수가 아닌 행렬식 $\text{det}(\Sigma_k)$를 가지며, 또한 symmetric 행렬이기 때문에 $\Sigma_k^T = \Sigma_k$이다. $\Sigma_k$에 관한 미분 과정은 Matrix Cookbook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i_k$를 최적화하기 위해 $\pi_k$에 대해 $J(\mathcal{X};\theta)$를 미분한다. 그러나 $\pi_k$는 식 $\eqref{eq:const_pi}$의 제약조건을 만족해야하기 때문에 식 $\eqref{eq:obj_pi_lag}$와 같이 라그랑주 승수법 (Lagrange multiplier method)을 적용한 목적함수 $J_{\lambda}(\mathcal{X};\theta)$에 대해 미분을 수행한다.

$$\begin{equation} J_{\lambda}(\mathcal{X};\theta) = \sum_{n=1}^N \sum_{k=1}^K \gamma_k(\textbf{x}_n) (\log \pi_k + \log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k, \Sigma_k)) + \lambda \left(1 - \sum_{k=1}^K \pi_k \right) \label{eq:obj_pi_lag} \end{equation}$$

식 $\eqref{eq:obj_pi_lag}$의 Lagrange multiplier $\lambda$는 제약조건에 관한 새로운 변수이며, $J_{\lambda}(\mathcal{X};\theta)$를 $\pi_k$에 대해 미분하면 아래와 같다.

$$\begin{equation}\begin{aligned}[b] \frac{\partial J_{\lambda}(\mathcal{X};\theta)}{\partial \pi_k} &= \sum_{n=1}^N \frac{\gamma_k(\textbf{x}_n)}{\pi_k} - \lambda = 0\\ &\Leftrightarrow \pi_k = \frac{1}{\lambda} \sum_{n=1}^N \gamma_k(\textbf{x}_n) \end{aligned} \label{eq:m_step_pi} \end{equation}$$

$\sum_{k=1}^K \pi_k = 1$및 $\sum_{k=1}^K \gamma_k(\textbf{x}_n) = 1$이라는 두 성질을 이용하면 식 $\eqref{eq:m_step_pi}$를 아래와 같이 변환할 수 있다.

$$\begin{equation} \sum_{k=1}^K \pi_k = \frac{1}{\lambda} \sum_{n=1}^N \sum_{k=1}^K \gamma_k(\textbf{x}_n) \label{eq:m_step_pi_imd} \end{equation}$$

식 $\eqref{eq:m_step_pi_imd}$을 통해 Lagrange multiplier $\lambda$는 아래와 같이 상수로 계산된다.

$$\begin{equation} \lambda = N \label{eq:lambda} \end{equation}$$

이것을 식 $\eqref{eq:m_step_pi}$에 대입하면 $\pi_k$는 식 $\eqref{eq:opt_pi}$과 같이 계산된다.

$$\begin{equation} \pi_k = \frac{1}{N} \sum_{n=1}^N \gamma_k(\textbf{x}_n) \label{eq:opt_pi} \end{equation}$$

따라서 M-step에서는 식 (12, 13, 18)을 이용하여 GMM의 모델 매개변수인 $\boldsymbol{\mu}_k$, $\Sigma_k$, $\pi_k$를 최적화한다. 그리고 최적화된 모델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다시 E-step으로 돌아가서 $\gamma_k(\textbf{x})$를 계산하고 M-step을 반복한다.

 

5. 분류 문제 (Classification Problem)에 대한 GMM 적용

분류 문제에서 GMM을 구성하는 $K$개의 가우시안 분포는 각각이 하나의 데이터 범주 (class)를 의미하며, 입력 데이터 $\textbf{x}$에 대한 분류 문제는 $\gamma_k(\textbf{x}) = q(z = k|\textbf{x})$가 최대가 되는 $k$를 찾는 것과 같다. GMM의 학습이 완료되었다면 우리는 이미 최적화된 모델 매개변수 $\boldsymbol{\mu}_k^*, \Sigma_k^*, \pi_k^*$를 갖고있기 때문에 식 $\eqref{eq:e_step}$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셋에 최적화된 $\gamma_k(\textbf{x})$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 $\textbf{x}$에 대해 $y$를 GMM이 예측한 class label이라고 하면, GMM을 이용한 데이터 분류 과정은 아래의 식 $\eqref{eq:classification}$와 같이 정의된다.

$$\begin{equation} y = \underset{1, 2, ..., K}{\text{argmax}} \frac{\pi_k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k, \Sigma_k)}{\sum_{j=1}^K \pi_j \mathcal{N}(\textbf{x}_n;\boldsymbol{\mu}_j, \Sigma_j)} \label{eq:classification} \end{equation}$$